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정보

2023년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방법, 지원내용

by 머니부자2022
반응형

15세~ 34세 청년이면서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라면 바로 신청하세요!

3년 동안 18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지원내용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 보세요~

 

내일채움공제플러스
내일채움공제풀러스 신청방법및지원내용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란?

새롭게 개편되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청년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에게는 자산 형성과 장기 재직의 기회로 안정적인 기반을 만들어 줄 수 있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어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입니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지원금액

만 15 ~34세 이하 정규직 신규입사자일 때 2년간 400만 원을 저축하면 기업이 400만 원 지원 정부가 400만 원을 지원하여 총 1,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내일채움공제" 제도 지원 내용과 신청

dhmade2022.com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사전청약안내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사전청약안내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대상  및 지원내용은?

2023년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개편되면서 지원 예산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2022년 기준 2,850억 원 정도의 지원 금액이 2023년 기준 2,230억 원 정도로 약 21% 이상 삭감되었습니다.
예산 삭감으로 인해 지원금액은 당연히 줄어들었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대상들 또한 대폭 축소되어 플러스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많이 아쉬워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구분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2022년)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2023년)
가입대상 만 15세 ~ 34세 청년 (20,000명) 만 15세 ~ 34세 청년(15,000명)
가입 가능 기간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소득요건 없음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지원기업 중소, 중견기업(유흥업종 및 기타 업종 제외)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 건설업 사업장
가입기간 5년 3년
시행일자 2022년 종료 2023년 2월 ~
납부금액 청년재직자 720만원 600만원
기업 1,200만원 600만원
정부 1,080만원 600만원
총 지원금 금액 5년간 3,000만원 + $ 3년간 1800만원 + $


지원 대상 기존과 동일하게  만 15세 ~ 34세 정규직에 근로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간은 5년에서 3년으로 축소되었습니다.
달라진 점은 기존 지원 대상을 2만 명에서 1.5만 명으로 축소시켰습니다. 또한 소득요건이 없었던 전년도와 달리 올해는 3,600만 원 이하의 연 소득을 가진 청년들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업들 또한 중소 / 중견 기업에서 몇몇 업종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가능했었지만 올해부터는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 건설업의 기업만 가능하도록 축소되었습니다.
​청년들이 내는 금액이 72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줄어들었지만 기간도 그에 맞춰서 3년으로 줄었기 때문에 납입 부담금은 24%에서 33%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방법은?

 2023년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방법은 짧게 4단계로 구분됩니다.

내일채움공제홈페이지 바로가기  

 

1) 내일채움공제홈페이지 회원가입

2) 가입 심사 및 승인

3) 심사 승인 후 공제금 납입

4) 만기 후 만이 금 신청 + 만이 금 지급 단계로 나뉩니다.

 

구비서류는 청년과 기업이 각각 제출해야 하는 게 다릅니다. ​

청년의 경우 1) 가족관계증명서, 2)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3) 신분증 or 주민등록등본, 4) 병적증명서(군필자), 5) 원천징수영수증 or 급여명세서(신청 직전 3개월 분), 6) 사업자등록여부사실증명원을 필요로 합니다. ​

 

기업의 경우 1) 사업자등록증, 2) 국세 납세증명서, 3) 지방세 납세증명서, 4) 법인등기부등본(법인인 경우), 5) 주주명부(법인인 경우), 6) 고용산재보험가입증명원, 7) 고용보험 사업장자격취득자명부 을 필요로 합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중도 해지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회사를 다니다 보면 본인과 회사 간에 트러블 또는 이직/전직의 기회가 갑자기 오기도 하기 때문에 중도 해제를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약 29% 정도의 분들이 중도 해제를 신청했다고 하는 합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귀책사유와 기간에 따라 적립금액이 나눠지기 때문에 아래의 사진을 잘 확인해 보시고 환급금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귀책사유에 따른 해지환급금 지급대상
귀책사유에 따른 해지환급금 지급대상
중도해지 환급금 지급 기준
중도해지 환급금 지급 기준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