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5세~ 34세 청년이면서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라면 바로 신청하세요!
3년 동안 18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지원내용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 보세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란?
새롭게 개편되는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청년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에게는 자산 형성과 장기 재직의 기회로 안정적인 기반을 만들어 줄 수 있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어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사업입니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지원금액
만 15 ~34세 이하 정규직 신규입사자일 때 2년간 400만 원을 저축하면 기업이 400만 원 지원 정부가 400만 원을 지원하여 총 1,2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내일채움공제" 제도 지원 내용과 신청
dhmade2022.com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대상 및 지원내용은?
2023년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개편되면서 지원 예산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2022년 기준 2,850억 원 정도의 지원 금액이 2023년 기준 2,230억 원 정도로 약 21% 이상 삭감되었습니다.
예산 삭감으로 인해 지원금액은 당연히 줄어들었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대상들 또한 대폭 축소되어 플러스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많이 아쉬워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구분 |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2022년) |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2023년) | |
가입대상 | 만 15세 ~ 34세 청년 (20,000명) | 만 15세 ~ 34세 청년(15,000명) | |
가입 가능 기간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
소득요건 | 없음 |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 | |
지원기업 | 중소, 중견기업(유흥업종 및 기타 업종 제외) |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 건설업 사업장 | |
가입기간 | 5년 | 3년 | |
시행일자 | 2022년 종료 | 2023년 2월 ~ | |
납부금액 | 청년재직자 | 720만원 | 600만원 |
기업 | 1,200만원 | 600만원 | |
정부 | 1,080만원 | 600만원 | |
총 지원금 금액 | 5년간 3,000만원 + $ | 3년간 1800만원 + $ |
지원 대상 기존과 동일하게 만 15세 ~ 34세 정규직에 근로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간은 5년에서 3년으로 축소되었습니다.
달라진 점은 기존 지원 대상을 2만 명에서 1.5만 명으로 축소시켰습니다. 또한 소득요건이 없었던 전년도와 달리 올해는 3,600만 원 이하의 연 소득을 가진 청년들만 지원이 가능합니다.
기업들 또한 중소 / 중견 기업에서 몇몇 업종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가능했었지만 올해부터는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제조 / 건설업의 기업만 가능하도록 축소되었습니다.
청년들이 내는 금액이 72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줄어들었지만 기간도 그에 맞춰서 3년으로 줄었기 때문에 납입 부담금은 24%에서 33%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방법은?
2023년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신청방법은 짧게 4단계로 구분됩니다.
1) 내일채움공제홈페이지 회원가입
2) 가입 심사 및 승인
3) 심사 승인 후 공제금 납입
4) 만기 후 만이 금 신청 + 만이 금 지급 단계로 나뉩니다.
구비서류는 청년과 기업이 각각 제출해야 하는 게 다릅니다.
청년의 경우 1) 가족관계증명서, 2)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3) 신분증 or 주민등록등본, 4) 병적증명서(군필자), 5) 원천징수영수증 or 급여명세서(신청 직전 3개월 분), 6) 사업자등록여부사실증명원을 필요로 합니다.
기업의 경우 1) 사업자등록증, 2) 국세 납세증명서, 3) 지방세 납세증명서, 4) 법인등기부등본(법인인 경우), 5) 주주명부(법인인 경우), 6) 고용산재보험가입증명원, 7) 고용보험 사업장자격취득자명부 을 필요로 합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중도 해지 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회사를 다니다 보면 본인과 회사 간에 트러블 또는 이직/전직의 기회가 갑자기 오기도 하기 때문에 중도 해제를 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약 29% 정도의 분들이 중도 해제를 신청했다고 하는 합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는 귀책사유와 기간에 따라 적립금액이 나눠지기 때문에 아래의 사진을 잘 확인해 보시고 환급금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행복카드 소개, 발급방법, 혜택 (0) | 2023.02.02 |
---|---|
2023년 부모급여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 지급일 (0) | 2023.02.02 |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지원금액 (0) | 2023.02.02 |
제대군인 전직지원금 소개 및 신청 방법 (0) | 2023.01.31 |
세금 총 정리 어떻게 바뀔까? (0) | 2023.01.30 |
댓글